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ETC – Redstar 3.0 Linux OS from North Korea - Part - 0

Sub Topic - setup & install



====Caution===
1. Virtual Machine 에서 실행하세요
2. VM 설정에서 NIC 를 제거하세요
3. 공유폴더 설정을 헤제합니다
4. Host OS 로 설치하지 마세요



Step – 1

==VirtualBox에서 HW 설정


=Fedora 계열로 설정을 맞춥니다


=메모리는 적당히 4기가로 용량은 20gb정도면 충분합니다


=네트워크 필수로 비활성화




Step – 2
==OS 설치 과정


=보안성이높은지는확인해봐야지..


=파티션을 찾을수 없다는 것 같습니다


==맥OS 느낌입니다


=디스크 관리 버튼을 눌러서 볼 수 있는 화면


=”콤”퓨터,”련”결..


=”리”용 해봅시다


=관리자/짧은 이름을 넣고(무슨 번역인지 모릅니다..) 통과 암호는 Password, “암시” 는 힌트


==그래서 관리자 이름에 vladimir 로, 짧은 이름을 putin 으로 했습니다(암호 “암시” 와 실제 암호를 같게 해서 편리하도록…)

전 홍차를 아주 좋아합니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이미지들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띄어쓰기좀 해주지
=각각의 설명들…(계속)



==평양 시간을 지원합니다


==북괴가 미국시간을?( “쏠”트레이크”씨”티)


==지원 안합니다


=지원 안하잖아 이놈들아 ㅋㅋㅋ


==본격 설치 시작


==프로그”람”을 설치해 봅시다


==”쏘”프트웨어개발도구&서고(개발에 필요한 문서를 미리 지원하나 봅니다)


==만능&보검 ?




=뭐 ..일단 다 필요하다 치고 설치합시다


=가상기억공간이 “창조” 되고있습니다


=3분 “정도” 남았답니다 (가벼운 OS네)


==블라디미르씨 입장하십니다





==맥의 UI와 흡사하네요



==다음시간엔 “콤퓨타” 내부를 알아봅시다
==가입탈퇴는 로그아웃일겁니다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ETC - Detect system file changes

 Topic - 윈도우 시스템 전체에서 파일의 변화를 탐지하여 바뀐파일을 출력하게 하는 명령어

(A command that detects changes to files throughout the Windows system and outputs the changed files.)

Solution

Step - 1 - Powershell open

Step - 2 - Enter Command

Get-ChildItem "$env:USERPROFILE\AppData" -Recurse -ErrorAction SilentlyContinue | Where-Object { $_.LastWriteTime -gt (Get-Date).AddMinutes(-5) } | Sort-Object LastWriteTime -Descending | Select-Object FullName, LastWriteTime

5분을 기준으로 변경된 파일의 목록이 나온다(업무중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변경하려는데 설정값이 바뀔때 어떤 파일이 바뀌는지 알기 위해 알아봄, 먼저 입력해서 결과값을 보고 프로그램 설정 변경후 다시 입력하면 변경된 파일을 알 수 있음)



2025년 3월 19일 수요일

ETC - Visual studio Offline installer Create

Topic - Visual Studio 를 인터넷이 불가능한 곳에서 설치하기 위한 작업
(How to install Visual Studio in a place without internet access)

solution

Step - 1 = Visual studio Bootstrapper download
visual studio bootstrapper 를 사용하려는 버전에 맞게 다운로드한다 - Link


Step - 2 = 폴더를 생성하고 경로를 메모장에 복사
폴더를 생성해 해당 폴더 경로를 메모장에 적는다(이 폴더는 비워두며 편의를 위해 C 드라이브 최상단에 위치시킴)



Step - 3 = 다운로드한 Bootstrapper 경로로 cmd 창을 통해 이동하여 다음을 입력
(커뮤니티 버전,모든기능, 한국어 설치파일 생성(최소 50GB이상 디스크 공간 필요)

vs_Community.exe --layout C:\Visual_Studio_2022_Community --lang ko-KR


Step - 4 = 다운로드 대기 & 진행확인(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작업이 진행된다)


Step - 5 = 완료시 다음과 같이 된다(2025-03 기준 72GB 이상)



2024년 8월 23일 금요일

FPGA - XUP - Embedded System Design Flow on Zynq - Lab 2

Topic = Adding IP cores in PL

Lab - 2 Overview = lab-1 에서 만든 시스템을 두개의 GPIO(볌용 입출력) IP를 추가해 확장하기


목표
  • PS의 GP 마스터 포트를 구성해 PL의 IP에 연결한다(AXI4-Lite)
  • 기존 HW설계에 IP를 추가
  • 컴파일러 설정 변경법 숙지
======================================================

Step - 1 - Lab-1 실행
  1. lab-1을 실행시킴
  2. File > Project > save as를 이용해 lab-2로 저장한다(create project subdirectory를 체크해 새로운 lab을 위한 폴더를 생성한다
======================================================

Step - 2 - 2개의 GPIO Instance 추가
  1. source 패널에서 system_wrapper를 확장후 system.bd(system_i)를 더블클릭해 Diagram 출력
  2. ZYNQ 블록을 더블클릭해 RE-Customize IP 열기
  3. 좌측에 PS-PL Configuration 클릭
  4. AXI Non Secure Exablement -> GP Master AXI Interfaces 클릭후 M AXI GP0 Interface를 활성화
  5. General > Enable Clock Reset 에서 FCLK_RESET0_N 활성화
  6. 좌측의 Clock Configuration 에서 PL Fabric Clocks 를 선택해 FCLK_CLK0 옵션을 활성화 하고 Requested Frequency를 100 (100MHZ 를 의미) 으로 변경후 OK
  7. PSU Parameter 관련 Critical Messages 가 나오면 OK 클릭 (무시가능 에러)
  8. 다이어 그램에서 변경된점 확인 (하단 그림처럼 나와야 함)
    1. M_AXI_GP0_ACLK
    2. M_AXI_GP0
    3. FCLK_CLK0
    4. FCLK_RESET0_N

  9. +버튼(또는 우클릭후 Add IP 를 눌러 AXI GPIO 를 검색
  10. 생성된 AXI GPIO 블록 우클릭후 Block Properties 클릭 후 이름을 switches로 변경
  11. GPIO 블록 더블클릭후 속성창 열기
  12. Board 탭의 IP Interface 중 GPIO의  Board Interface 를 drop down 후 sws 2bits 로 변경
  13. IP Configuration 탭을 눌러 Enable Dual Channel과 Enable Interrupt 가 체크 헤지되었는지 확인(이때 채널은 다른 장치와 구성요소갖ㄴ의 유선연결임, 듀얼일때 128bit를 사용하고 싱글은 64 bit를 사용한다)
  14. 확인으로 저장하고 닫는다
  15. Designer Assistance available 을 확인하고 Run Connection Autimation 을 누른다
  16. 좌측 switches 하단의 S_AXI 를 선택
  17. Master 와 Slave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클릭하고 확인을 누른다(2개의 추가 block 이 그려진다(Processor System Reset/AXI Interconnection 하단 그림 참조)

  18. 다른 GPIO Instance를 추가하고 이름을 buttons로 바꾼다
  19. 새로 생긴 IP 인 Buttons 를 더블클릭후 GPIO 인터페이스를 btns 4bits 로 바꾼다
  20. AXI Interconnected 를 더블클릭(ps7_0_axi_periph)후 Master Interfaces를 2로 바꾼다

  21. buttons로 추가한 요소의 X_AXI 포트를 클릭하고 AXI Interconnected 블록에 선을 잇는다(M01_AXI 에 선이 이어진다/ Found 1 interface 메시지가 꼭 나와야 한다.
  22. 이와 마찬가지로 다음 포트를 연결한다
    1. Buttons 의 s_axi_aclk -> zynq 7의 FCLK_CLK0 (Zynq처리시스템과 장치가 동기화 통신함)
    2. Buttons 의 s_axi_aresetn -> Processor 의 Reset peripheral_aresetn (Zynq처리시스템이 주변을 Reset한다)
    3. AXI Interconnect M01_ACKL -> Zynq7 Processing system의 FCLK_CLK0
    4. AXI Interconnect M01_ARESETN -> Processor System Reset Peripheral_aresetn
    5. 모든걸을 연결하고 Regenerate Layout을 누르면 다음과 같다

  23. Address Editor 탭을 누르고 Processing_system7_0/Data > Unassigned를 확장시킨다
  24. /buttons/S_AXI를 우클릭해 Assign 한다(주소범위는 0x40000000 ~ 0x7FFFFFFF 이라고 하는데 Buttons/S_AXI = 0x4121_0000 ~ 0x4121_FFFF , switches/S_AXI = 0x4120_0000 ~ 0x4120_FFFF)
    ======================================================
Step - 3 - GPIO 주변 장치 연결을 외부로 만들기
  1. 다이어그램 뷰에서 Designer Assistance가 가능한지 확인한다
  2. Switch 인스턴스에서 GPIO 포트를 마우스 우클릭해 Make External 을 선택해 외부 포트를 만든다-->선이 하나 빠짐
  3. 추가된 GPIO_0 포트를 우클릭해 Properties 를 눌러 이름을 switches 로 변경한다
  4. buttons의 GPIO 를 우클릭해 Run Connection Automation 을 누른다
  5. options 하단 select Board Part Interface 에 btns_4bits를 선택후 OK를 누른다
  6. 생성된 외부 포트의 이름을 buttons 로 변경한다
  7. Design validation 을 수행하고 verify하여 에러가 없는지 확인한다/ 이떄 완성된 다이어그램은 하단과 같다(이때 필요하면 automatic connection을 눌러준다)

  8. Flow Navigator 에서 Run Synthesis 를 실행(저장옵션이 나오면 저장한다)하고 Open Synthesized Design 을 선택하고 확인한다
  9. shortcut 바에서 Layout Dropdown 메뉴에서 I/O Planning 을 선택한다